주 3일 이상, 1년 이상 지속하면 근감소증 위험 20% 이상 감소 

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(KoGES)에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약 13만명에 대한 대규모 데이터 분석 결과

주 3~4일 및 주 5일 이상의 저항성운동을 1년 이상 지속한 경우 근감소증 위험이 각각 20%, 24% 감소, 2년 이상 지속한 경우 45%까지 감소

근감소증 예방을 위해서는 적어도 주 3일 이상, 1년 이상 저항성운동을 지속할 필요

[로즈데일리] 질병관리청(청장 지영미) 국립보건연구원(원장 박현영)은 “저항성운동을 주 3일 이상,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하면 근감소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”는 연구결과를 전문학술지에 발표하였다고 19일 밝혔다.

저항성운동(resistance training)이란 근력 및 근지구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신체, 기구 등의 무게를 활용하여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는 운동을 말하며, 근력운동(strength training)은 저항성운동의 일종이다.

국립보건연구원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(KoGES) 자료를 활용하여 40–79세 성인 약 13만명을 대상으로 저항성운동의 수행 빈도 및 수행 기간과 근감소증의 주요 진단 지표인 저근육 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. 근감소증은 노화와 함께 근육량, 근력, 근기능이 복합적으로 감소하는 질환이며, 저근육(low muscle mass)은 근감소증을 진단하는 지표로서, 생체전기저항분석법을 통해 측정된 제지방량(fat-free mass)을 신장의 제곱(㎡)으로 나눈 값인 fat-free mass index (FFMI)를 활용하여 진단하며, 남성은 17.5 kg/㎡ 미만, 여성은 14.6 kg/㎡미만일 경우에 해당

저항성운동의 수행빈도는 주당 1일, 2일, 3–4일, 5일 이상 수행한 경우, 수행기간은 12개월 미만, 12–23개월,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.

연구 결과, 저항성운동을 수행하지 않았을 때보다 주 3–4일씩 12–23개월 동안 저항성운동을 수행한 경우 근감소증 위험이 20%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, 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에는 24% 감소하였다.

특히 저항성운동을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에는 효과가 극대화되어, 주 3–4일 및 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 모두 근감소증 위험이 각각 45%씩 감소하였다.

저항성운동의 빈도 및 기간에 따른 근감소증 위험에 대한 오즈비   ⓒ질병관리청
저항성운동의 빈도 및 기간에 따른 근감소증 위험에 대한 오즈비   ⓒ질병관리청

하지만 주 3일 이상의 저항성운동 실천율은 전체 9%(남성 11%, 여성 8%)였으며 1년 이상의 저항성운동 실천율도 9%(남성 12%, 여성 8%)에 불과해,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저항성운동 실천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.

이번 연구 결과는 노화 연구 분야 국제학술지 “European Review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” 최근호에 3월 7일 온라인 게재되었으며, 논문명은 'Associations of resistance training levels with low muscle mass: a nationwide cross-sectional study in Korea' 이다.

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“신체기능 저하, 골다공증, 당뇨병, 사망률 등의 위험 증가와도 관련된 근감소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주 3일 이상 꾸준히 저항성운동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”라고 당부하며, “향후 저항성운동의 유형과 강도까지 고려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”라고 밝혔다.

저작권자 © 로즈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